독일의 대 IS 군사 개입

반다에시 작전
대 IS 군사 개입, 시리아 내전, 이라크 내전 (2014년~2017년)의 일부
날짜2015년 12월 4일 - 현재
장소
결과 진행 중
교전국
독일의 기 독일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ISIL
지휘관

독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우르줄라 데어 라이엔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
병력

독일 연방방위군

  • 전투기 4-6대
  • 전함 1척
  • 항공모함 1척
불명
피해 규모
기술자 1명 사망 불명
  • v
  • t
  • e
연표
  • 2011년 1월–4월
  • 2011년 5월–8월
  • 2011년 9월–12월
  • 2012년 1월–4월
  • 2012년 5월–8월
  • 2012년 9월–12월
  • 2013년 1월–4월
  • 2013년 5월–12월
  • 2014년 1월–8월
  • 2014년 9월–12월
  • 2015년 1월–8월
  • 2015년 9월–12월

  • 도시
  • 폭격
  • 학살
  • v
  • t
  • e
시리아 민중봉기
(2011년 3월–8월)
  • v
  • t
  • e
반란 초기
(2011년 9월–2012년 4월)
  • 홈스
  • 1차 이들리브 주
    • 터키 국경
    • 자발 알자위야
    • 1차 이들리브 시
    • 사라켑
  • 1차 라스탄
  • 하마 주
  • 다라 주
  • 케르나즈
  • 1차 리프디마슈크 주
    • 1차 자바다니
    • 도우마
  • 1차 데이르에조르
    • 하틀라
  • 알레포 주
    • 아자즈
  • 2차 라스탄
  • 1차 알쿠사이르
  • 2차 이들리브 주
    • 타프타나즈
  • v
  • t
  • e
내전 돌입
(2012년 5월~2013년)
  • 3차 라스탄
  • 훌라
  • 알하파흐
  • 알쿠베이르
  • 알트렘세흐
  • 3차 이들리브 주
  • 1차 다마스쿠스
    • 폭격
  • 알레포
    • 아나단
    • 메나그 공군기지
    • 제46기지
    • 칸 알아살
    • 제1차 알레포 공세
    • 2차 알레포 공세
  • 로자바
    • 라스 알아인
    • 쿠르드-이슬람주의 분쟁
  • 누블·알자흐라
  • 2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다라이야)
  • 아부 알두후르 공군기지
  • 쿠네이트라 주
  • 3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야르무크
    • 2차 다라이야
  • 아크랍
  • 제1차 하마 공세
    • 할파야
  • 1차 사피라
  • 샤다데
  • 2차 다마스쿠스
  • 라카
  • 제1차 다라 공세
  • 4차 리프 디마시크
    • 즈다이뎃 알파들
    • 고우타
  • 알쿠사이르 공세
    • 2차 알쿠사이르
  • 바이다·바니야스
  • 제2차 하마 공세
  • 제1차 라타키아 공세
  • 마로울라
  • 사다드
  • 5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칼라모운
  • 아드라
  • v
  • t
  • e
이슬람주의자들의 성장
(2014년 1월–9월)
  • 반군-IS 분쟁
    • 마르카다
    • 제1차 데이르 에즈조르 공세
  • 알오타이바
  • 마안
  • 호슨
  • 모레크
  • 제2차 다라 공세
  • 제2차 라타키아 공세
  • 4차 이들리브 주
  • 알말리하
  • 와디데이프
  • 2차 칼라모운
    • 아르살
  • 1차 샤에르 가스전
  • 동부 공세
    • 타브카 공군기지
  • 제3차 하마 공세
  • 제6차 리프 디마시크
  • 제1차 쿠네이트라 공세
  • 코바니
  • v
  • t
  • e
미국 주도 연합군의 개입
(2014년 9월–2015년 9월)
  • 미국 주도의 개입
  • 제3차 다라 공세
  • 제2차 사피라
  • 이들리브 습격
  • 알누스라-혁명전선 분쟁
  • 2차 샤에르 가스전
  • 알샤이크 마스킨
  • 제2차 데이르 에즈조르 공세
  • 제3차 알레포 공세
  • An-26 추락
  • 제4차 다라 공세
  • 남부 공세
  • 동부 하사카 주 공세
  • 1차 사린
  • 하마·홈스 공세
  • 보스라
  • 5차 이들리브 주
    • 2차 이들리브 시
  • 알푸아카프리야
  • 나시브
  • 2차 야르무크
  • 1차 서북부 공세
  • 3차 칼라모운
  • 제1차 팔미라 공세
  • 서부 알하사카흐 공세
  • 1차 하사카
  • 텔아비아드
  • 다라·아스수와이다
  • 제2차 쿠네이트라 공세
  • 2차 사린
  • 제5차 다라 공세
  • 2차 하사카 시
  • 2차 코바니
  • 제4차 알레포 공세
  • 2차 자바다니
  • 제2차 팔미라 공세
  • 알가브 공세
  • 알카라타인
  • 도우마
  • 7차 리프 디마시크
  • 쿠웨이레스 공세
  • v
  • t
  • e
러시아의 개입
(2015년 9월–2016년 3월)
  • 러시아의 개입
  • 제3차 쿠네이트라 공세
  • 2차 서북부 공세
  • 제5차 알레포 공세
  • 마힌
  • 알하울
  • 알샤다디
  • 3차 홈스 공세
  • 제3차 라타키아 공세
  • 제5차 하마 공세
  • 티시린 댐 공세
  • v
  • t
  • e
튀르키예의 개입
(2016년 3월–2017년 2월)
  • 제8차 알라포 공세
  • 제6차 다라
  • 제9차–제11차 알레포 공세
  • 알두마이르
  • 동부 고타 반군 분쟁
  • 카미실리
  • 알레포 폭격
  • 제8차 리프디마슈크
  • 제3차 샤에르 정유소
  • 제1차 북부 라카
  • 자블레 & 타르투스
  • 만비즈
    • 토카르
  • 제2차 이드리야-라카
  • 제9차 리프디마슈크
  • 제12차–제14차 알레포 공세
    • 제12차
    • 제13차
    • 제14차
  • 제4차 라타키아
  • 알부카말
  • 제3차 카미실리
  • 아트메
  • 알라이
  • 제3차 하사카
  • 튀르키예의 개입
  • 제5차 하마
  • 제1차 서부 알바브
  • 동부 카라먼
  • 9월 폭격
  • 제4차 쿠네이트라 공세
  • 데이르에조르 공습
  • 알레포 수송선 공격
  • 제15차 알레포 공세
  • 칸 알신
  •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2차 서부 알바브
  • 제16차 알레포 공세
  • 라카
  • 제17차 알레포 공세
  • 제4차 팔미라
  • v
  • t
  • e
ISIL의 쇠퇴
(2017년 2월~11월)
  • 와디 바라다
  • 제1차 시리아 사막
  • 아자즈 폭격
  • 제5차 팔미라
  • 제4차 데이르에조르
  • 제18차 알레포
  • 제2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7차 다라
  • 카분
  • 제8차 다라
  • 동부 홈스
  • 알지나
  • 제6차 하마
  • 타브카
  • 칸 샤이쿤
  • 샤이라트
  • 알레포 버스 폭발
  • 개입 후 터키 공습
  • 제2차 동부 고타 반군 충돌
  • 제2차 시리아 사막
  • 마스카나
  • 동부 하마
  • 제2차 락까
  • 제9차 다라
  • 남부 라카
  • 이란군 데이르에조르 공습
  • 조바르
  • 제5차 쿠네이트라
  • 중앙 시리아
  • 제3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4차 칼라문
  • 제5차 데이르에조르
  • 동부 시리아 전역
    • 제6차 데이르에조르
    • 유프라테스 도하
    • 마야딘
    • 제2차 부카말
  • 제7차 하마
  • 제2차 터키군 개입
  • v
  • t
  • e
반군 후퇴와 올리브 가지 작전
(2017년 11월~2018년 9월)
  • 북서 시리아 전역
  • 아타리브
  • 하라스타
  • 베이트진
  • 제1차 남부 다마스쿠스
  • 아프린
  • 카샴
  • 2018년 2월 이스라엘-시리아 사건
  • 제10차 리프디슈마크
    • 두마
  • JTS-HTS 갈등
  • 제2차 남부 다마스쿠스
  • 북부 홈스 공세
  • 제2차 동부 칼라문
  • 제3차 남부 다마스쿠스
  • 제8차 데이르에조르
  • 제9차 데이르에조르
  • 수와이다
  • 남부 시리아
  • v
  • t
  • e
이들리브 비무장화
(2018년 9월~2019년 4월)
  • 이들리브 비무장화
    • 이들리브 제5차 반군 충돌
    • 2018년 9월 미사일 공습
  • 동부 유프라테스 공습
  • 시리아 북부 국경
  • 다라 반란
  • 2019년 만비지 자폭 테러
  • 바구즈 파카니
    • 미국 공습
  • v
  • t
  • e
이들리브 공세와 튀르키예의 침공
(2019년 4월~2020년 3월)
  • 이들리브의 새벽
  • 텔리파아트
  • 하스
  • 2019년 시리아 테러
  • 2019년 8월 미사일 공습
  • 평화의 봄
    • 제2차 알아스라인
  • 카일라 멜러 작전
  • 2019년 11월 미사일 공습
  • 이들리브의 새벽 2
    • 바리운
    • 봄의 방패
  • v
  • t
  • e
이들리브 휴전
(2020년 3월~현재)
  • 제6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아인이사
  • 카미실리&알하카사
  • 2021년 1월 미사일 공습
  • 카미실리
  • 제11차 다라
  • 제7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3차 알하카사
  • 제1차 알레포 반군 충돌
  • 제벨비슈리
  • 제2차 알레포 반군 충돌
  • 클로 소드
  • 북서시리아
  • 제1차 북동시리아
  • 데이르에조르
  • 제2차 북동시리아
  • 홈스
  • v
  • t
  • e
레바논
    • 국경 충돌
    • 시돈
    • 이란 대사관 폭파
    • 북부 레바논 충돌

튀르키예
    • F-4기 요격사건
    • 레이하늘리
    • 2014년 공습
    • 쿠르드인 폭동

튀르키예-러시아 대치

이스라엘

요르단
    • 2012년 충돌
    • 2014년 공습

이라크
    • 아카샤트
    • 알샤바흐 작전
    • 서부 니나와

유럽의 이슬람 테러리즘

이란
  • v
  • t
  • e
  • v
  • t
  • e
이라크 내전 (2014년~2017년)
연표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전투 및 작전

  • 안바르
    • 1차 팔루자
  • 제1차 이라크 북부
    • 1차 모술
    • 아미르리
    • 스파이커 기지
    • 티그리트
  • 제2차 이라크 북부
    • 주마르
    • 제1차 신자르
    • 모술댐
  • 무잡 빈 우마이르 모스크
  • 수크 알 가지
  • 사크라위야
  • 히트
  • 주르프 알 사카르
  • 살라딘
    • 제1차 바이지
    • 제2차 티그리트
    • 제2차 바이지
  • 라마디
  • 제2차 신자르
  • 드후뤼야
  • 2차 모술 공세
  • 제2차 키르쿠크
  • 알카르마
  • 제2차 안바르
    • 제2차 라마디
    • 제2차 팔루자
    • 제2차 히트
    • 알루트바 공세 (2016년)
    • 제3차 팔루자
  • 제3차 신자르
  • 니나와 평원 공세
  • 제3차 모술
  • 제4차 모술
    • 서부 니나와 공세
  • 하맘 알알리
  • 튀르키예의 신자르 공습
  • 탈아파르
  • 서부 안바르
  • 서부 이라크
  • 하위자

이라크-쿠르드 분쟁

  • 제3차 키르쿠크

외국의 개입

테러 공격

  • 제1차 바그다드
  • 칸 바니 사드
  • 제2차 바그다드
  • 샤라반
  • 라마디
  • 모술
  • 제3차 바그다드
  • 미크다디야
  • 힐라
  • 이스칸다리야
  • 제1차 바그다드

독일의 대 IS 군사 개입은 2015년 12월 4일 공식발표된 독일의 전쟁이다. 시리아 내전제2차 이라크 전쟁에 대한 독일의 개입은 반다에시 작전이라는 암호명이 붙은 독일 연방방위군의 시리아 및 이라크에서의 임무에서 시작되었다. 처음에 이 전쟁은 미국의 내재된 결단 작전의 일부로써 시작되었다.[1] 이 전쟁은 ISIL의 테러에 맞서 싸우기 위한 전쟁으로 2015년 11월 파리 테러에 대한 대응 중 하나이기도 했다. 현재 독일은 이라크와 시리아에 항공모함 1척 및 전함 1척을 보냈다.[1]

역사

독일 연방방위군의 배치는 2015년 11월 말 독일 정부의 독일 연방의회에서 논의되고 있었고, 2015년 12월 4일 독일 기독교민주연합독일 사회민주당의 투표에서 다수결의 찬성을 얻음으로써 파병이 승인되었다. 튀니지, 터키, 베이루트, 러시아, 그리고 특히 2015년 11월 파리 테러는 시리아 및 이라크 이외의 지역에서도 테러 조직이 테러를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였으며 전세계적 평화와 안보를 위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독일 연방의회는 파병에 정당성을 부여했다. 더욱이 파리에서의 공격은 ISIL이 직접적으로 유럽 본토에 테러를 저지를 수 있음을 알린 것이었다. 법적으로 이러한 파병은 유엔 헌장 51조에 의거한 것이었다.[2] 추가적으로 이 임무는 파리 테러와 같은 전쟁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시리아-이라크 지역의 주민들을 보호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었다.

독일 연방방위군은 터키 공군 기지에서 파나비어 토네이도 6대와 프리킷을 보내 프랑스군을 도왔다. 반IS 국제 동맹군의 공습 참가와 같은 무장 공격은 독일 정부 측에서 계획하고 있지 않다. 1200명의 군대 파병은 독일 연방방위군의 해외 파병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이다. 시리아에서 진행 중인 내전의 불명확한 상황과 관련된 위험으로 인해 연방 정부의 정책과 연방방위군의 임무는 논란이 많다. 독일 좌익 칼럼리스트이자 슈피겔의 기자인 제이콥 어거스틴과 같은 비평가들은 이 임무를 "메르켈의 전쟁"이라 덧붙였으며 독일을 전쟁 국가로 만든다고 말했다. 추가적으로 비평가들은 독일에서도 테러의 공격이 증가할 것이라고 두려워했다.[3] 이 임무에 관한 의회 임원은 작전이 2016년 12월 31일까지만 유효하다고 말했다. 군사 작전은 1340만 유로가 들 것으로 보고되었다.[4]

작전의 규모

1200명 정도의 독일 연방방위군이 전투에 참여한다.[5]

  • 공중 급유: 150명
  • 교육: 400 ~ 500명
  • 해군: (about 300)
  • support staff (about 50)

2015년 12월 4일, 에어버스 A400M과 2대의 파나비어 토네이도가 인시를릭 공군기지로 가서 첫 임무를 수행했다. 이 때 에어버스 A400M에는 40명의 독일 연방방위군이 있었다.[6] 토네이도 전투기들은 지원기로 배치될 예정이다.[5]

자산

독일 공군

독일 해군

브레멘급 순양함 F213 아우크스부르크가 프랑스 항공모함 샤를 드 골 함의 임무에 배치될 예정이다.[5]

같이 보기

각주

  1. Bundeswehr unterstützt-erstmals Luftangriffe gegen den IS, Bundeswehr Journal, in German
  2. Bundeswehreinsatz im Kampf gegen IS-Terror, Bundestag.de, in German
  3. S.P.O.N. - Im Zweifel links: Merkels Krieg, Der Spiegel, in German
  4. Kabinettsvorlage: Bundeswehreinsatz gegen IS soll 134 Millionen Euro kosten, Der Spiegel, in German
  5. “Hintergründe zum Syrien-Einsatz der Bundeswehr” (독일어). German MoD. 2015년 12월 18일에 확인함. 
  6. “Abflug in den Syrien-Einsatz” (독일어). German Air Force. 2015년 12월 18일에 확인함. 
  7. 《AirForces Monthly》. 잉글랜드 링컨셔주 스탬포드: Key Publishing Ltd. January 2016. 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