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AM

L-SAM대한민국이 개발중인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이다.

역사

L-SAM의 미사일 요격 시험

북한의 노동 미사일을 외기권에서 방어할 수 있는 고고도 장거리 미사일 요격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2015년 탐색개발을 시작했다. 2018년 탐색개발이 종료되어 시제기가 생산됐다. 하지만 1차 시험발사가 실패로 돌아가 군은 다시 2022년까지 체계개발을 끝내고 대량생산 하기로했다. 2023년 실전배치될 계획이며, 개발비용은 1조원이다.[1]

대한민국은 북한의 핵공격 위협에 대응해 2023년까지 킬 체인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를 구축중이며, L-SAM은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제의 핵심 구성요소다.

2022년 2월 23일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충남 태안군 안흥종합시험장에서 L-SAM의 시험발사가 진행됐다.

이날 발사는 표적 없이 미리 프로그래밍된 궤도를 따라 발사체를 쏘아올리는 플라잉(비행) 테스트로 이뤄졌다.

발사된 요격미사일이 미리 설정한 탄착점에 정확히 떨어지는 등 시험발사가 성공한 것으로 전해졌다.[2]

국방과학연구소는 5월 30일 'L-SAM 종합 유도 비행시험' 전체 과정을 언론에 처음 공개했다. 이번 시험은 북한 탄도미사일을 모사한 표적탄을 탐지 추적하고, 목표 고도에서 실제 요격하는 실전 방식으로 진행됐다.[3]

2023년 9월 26일 국군의 날 기념식과 10년만에 열린 시가행진 (23년 10월 1일은 추석 연휴라 일정이 당겨짐)에서 그 모습을 드러냈다.

제원

  • 종류: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 유도 방식: 액티브 레이더 유도
  • 유효사거리: 200 km
  • 레이더 탐지거리: 탄도탄 310 km
  • 최대표적속도: 항공기 700 m/s, 탄도탄 3000 m/s(마하 8.82)
  • 동시추적수: 항공기 100개, 탄도탄 10개
  • 동시교전수: 항공기 20개, 탄도탄 10개
  • 유효고도: 40~100이하 km

미사일

L-SAM의 대탄도 미사일 (ABM)

L-SAM의 레이더는 탄도미사일에 대응하는 대탄도 미사일(Anti-Ballistic Missile)과 항공기, 순항미사일에 대응하는 AAM(Anti-Air Missile)으로 나뉘며 둘다 핫런치 방식을 사용하며 이중펄스 추진기관이 적용되어 있다. L-SAM 1개 포대당 대항공기 유도탄발사대 2대, 대탄도탄 유도탄발사대 2대를 운용한다.

ABM은 사거리가 150km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직격 비행체(Kill Vehicle)와 DACS(Divert and Attitude Control System), 단분리 기술, TVC를 사용하며 상세한 제어를 위해 젤타입의 고체연료를 사용한다. 사드와 마찬가지로 적외적 탐색기를 사용하기에 성층권 이하에서는 사용할수 없다.

AAM은 200km급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이며 천궁의 Ku-Band 레이다 탐색기를 개량한 것이 적용된다. 보통 대기권 내의 항공기 요격 임무를 담당하지만 ABM이 요격에 실패할시 패트리어트와 같이 탄도탄 요격에도 사용될 수 있다.

최대요격고도

L-SAM의 탄도탄 요격 미사일의 최대요격고도는 보도가 정확하지 않다.

2018년 10월 5일, 천궁 미사일(M-SAM)보다 사거리를 늘린 장거리 지대공미사일 'L-SAM' 개발을 총 1조 원을 들여 추진 중이다.

한국군은 이스라엘에서 그린파인 레이더 블록-B 2기, 블록-C 2기를 수입해 탄도유도탄 작전통제소를 구축하여 지대공 미사일과 연동중이다. 그런데, 그린파인 레이더 블록-C는 이스라엘 애로우 3 지대공 미사일에 사용되는 레이더로, 애로우 3 지대공 미사일의 최대요격고도는 100 km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

L-SAMⅡ

군은 L-SAM보다 높은 고도에서 적 미사일을 요격할 L-SAMⅡ도 개발 중이다. L-SAMⅡ는 60 km 이상 고도에서 적 미사일을 요격하는 무기체계로 알려졌다.

박재민 국방차관은 L-SAMⅡ 배치 시기에 대해 "2020년대 후반 정도"라고 답했다.

국회 2024년도 예산안에서 개발비 25억원이 책정되었다.

KAMD는 패트리엇(PAC-3)과 M-SAM 블록-Ⅰ·Ⅱ(고도 15~40㎞), L-SAM(고도 40~60㎞)이 다층 방어망을 구성한다. 두 차례의 요격 기회를 얻도록 해서 지상 피해를 줄이려는 것이다.

L-SAM을 개량한 L-SAM-Ⅱ는 요격고도가 60~100㎞에 달한다. 고고도 요격유도탄과 활공단계 요격유도탄이 핵심 역할을 맡을 예정인데, L-SAM 포대에 발사차량 2대를 추가하는 형태로 운용된다.

고고도요격유도탄은 L-SAM 미사일보다 요격고도가 크게 상향된 것이다. 미사일 방어범위를 확장하고, 북한의 동시다발적인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는 능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기존보다 더 높은 고도에서 요격을 시도하므로, 고고도요격유도탄이 실전배치되면 KAMD는 최대 3번의 요격 시도가 가능하다.

레이더

질화갈륨(GaN) 소자가 적용된 고성능 다기능 레이더를 사용하며 FFG-III 충남급 호위함과 KDDX의 다기능 위상배열레이더와 같은 시스템을 공유한다.

장거리 항공기/탄도탄 표적에 대한 탐지, 추적과 항공기 식별, 재머대응 및 유도탄 교전(포착/추적/교신) 등의 복합 임무를 단일 레이다로 수행할 수 있는데 탄도미사일을 초기 상승 단계에 탐지하기 위해 낮은 각도에서 넓은 영역을 조사하여 탐지하는 펜스 탐색모드, 가장 일반적인 탄도탄 구역 탐색모드,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 등으로부터 공유된 정보를 바탕으로 예상 위치를 산출하여 집중 탐색하는 큐잉 탐색모드가 존재하며, 항공기, 순항미사일 등의 표적에 대응하는 항공기 구역 탐색모드가 존재한다.

2022년 4월 10일, 한화시스템이 개발 중인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L-SAM) 레이더 시제기를 공개했다. ADD는 L-SAM 체계 개발을 2024년 11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전력화 시기는 2026년께로 알려졌으나 최근 북한의 연쇄 도발로 방어망 강화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조기 배치 가능성도 점쳐진다.

L-SAM 레이더는 X밴드(8~12㎓) 주파수를 사용하는 사드와 달리 S밴드(2~4㎓)를 사용한 게 특징이다. S밴드는 탄도미사일뿐만 아니라 항공기를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고 그린파인 레이더의 L밴드 레이더 보다 효과적이만 파장이 짧고 높은 출력을 내는 X밴드에 비해서 정밀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L-SAM 레이더는 수천개의 소자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고 이를 통합 운용하는 기술을 통해 단점을 극복했다는 게 한화 측의 설명이다.

조기경보 레이더

탄도유도탄 작전통제소가 구축되어 가동중이기 때문에, L-SAM 자체 레이더의 탐지거리가 얼마나 긴 지는, 큰 의미는 없다. 다만 그린 파인 레이더와 같이 L-SAM의 다기능 레이더를 확장하여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로 활용한 계획또한 존재한다. 그린파인 레이더의 탐지거리는 900 km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확하게 탄도 미사일 요격을 위한 유도가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같이 보기

각주

  1. 군,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L-SAM 체계개발 착수
  2. 장거리요격미사일 L-SAM·'한국형 아이언돔' 시험발사 성공
  3. 北미사일 요격 'L-SAM' 네번째 발사도 성공…2025년 양산착수
  • v
  • t
  • e
보병 화기
권총
돌격소총
기관단총
기관총
유탄발사기
산탄총
저격소총
대전차무기
차량 및 화기
육상 차량
장갑차
전차
곡사포
자주포
다연장 로켓포
박격포
  • K242A1 박격포
  • 120mm 박격포
  • M30 박격포
  • KM-29A1 박격포
  • KM-181 박격포
  • KM-187 박격포
대공포
미사일
기타 장비
대전차지뢰
  • K441
  • KM19
  • KM79
  • KM15
  • KM16A1
  • KM19
  • M70 원격 조정 전차 지뢰
  • M73 원격 조정 전차 지뢰
대인지뢰
  • M18A1
  • KM16
  • KM14
  • KM49A1
  • M2A1/3/4 도약식 대인 지뢰
  • M3 목침 대인 지뢰
  • M74 자폭형 대인 지뢰
  • 연습용 크레모아 대인 지뢰
지뢰관련
  • TM-808 금속탐지기
  • KM138 지뢰 살포기
  • NMD-9 지뢰탐지기
  • GDS-17K 금속지뢰탐지기
  • 지뢰탐지봉
  • 다용도 지뢰제거 장비
  • 미클릭 지뢰제거 장치
  • MK4 지뢰제거 장비(영국)
  • 리노 무인 지뢰제거 장비(독일)
  • 마인 브레이커 대전차 지뢰제거 장비(독일) (탐지기 및 지뢰)
  • 포민스 II 휴대용 지뢰제거 시스템
레이더
통신기기
  • ARC-900K 항공용 FM 무전기
  • KAN CRC-512 UHF 극초단파 다중 채널 무전기
  • KAN GRC-512A(V) UHF 다중 채널 무전기
  • KAN URC-87 휴대용 AM 무전기
  • PRC-85K 분,소대 휴대용 FM 무전기
  • PRC-96K 분,소대 휴대용 FM 무전기
  • PRC-950K 휴대용 AM 무전기
  • PRC-999K 중대 FM 무전기
  • TA-1 야전 전화기
  • TA-312 야전 전화기
  • TA-512K 전자식 전화기
  • TA-512KA 전술용 전자식 전화기
  • TMMR 다기능 무전기
대화생방장비
  • K1 방독면
  • K5 방독면
  • K50 방독면
  • KM256 화학 작용제 탐지킷
  • KM8K2 화학 자동경보기
  • KM8KM9 탐지기
  • K-CAM2 화학 작용제 탐지 장비
  • CAD 화학 탐지기
야간장비
  • AN/PVS-5 야간투시경
  • AN/PVS-7 야간투시경
  • AN/PVS-4 2세대 야간조준경
  • AN/PVS-14K 단안형 야간투시경
  • AVS-6 헬기 조종사
  • KAN/TVS-5 공용화기 야간조준경
  • KM17A2 쌍안경
  • KM20 쌍안경
  • PAS-01K 야간조준경
  • PAQ-04K 개량형 야간 표적 지시기
  • PAQ-91K 야간 표적 지시기
  • PVS-04K 야간투시경
  • PVS-05K 기관총 주야조준경
  • PVS-98K 휴대용 주야간관측 장비
  • TAS-970K 열영상장비
  • 열상감시장비
  • TWS 열영상 조준경
  • VECTOR-21 다기능 쌍안경
  • PVS-11K 조준경
항공기
헬리콥터
무인 항공기
  • 취소선: 퇴역 및 개발·도입 취소
  • 대한민국 해군 장비
  • 대한민국 공군 장비
  • v
  • t
  • e
전술 수송기
VIP 수송기
전투기
정찰기
조기경보통제기
공중급유기
무인항공기
훈련기
공격기
공대공 미사일
공대지 미사일
공대함 미사일
폭탄
방공포
로켓
헬기
레이더
  • ¹: 도입 예정
  • 대한민국 육군 장비
  • 대한민국 해군 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