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roid

F-Droid
공식 F-Droid 로고
최신 앱을 표시하는 안드로이드의 F-Droid 1.2 스크린샷
발표일2010년 9월 29일[1]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안정화 버전
1.17.0[2]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2023년 7월 22일(10개월 전)(2023년 7월 22일))
저장소
  • gitlab.com/fdroid/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프로그래밍 언어파이썬 (서버 도구), Jekyll (사이트), 자바 (클라이언트)
운영 체제안드로이드 (클라이언트), 리눅스, macOS, Windows 10, FreeBSD (서버)
종류자유 소프트웨어의 디지털 배급, 소프트웨어 저장소
웹사이트f-droid.org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F-Droid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비슷한 기능을 담당하는 안드로이드용 앱 스토어이자 소프트웨어 저장소이다. 이 프로젝트가 호스팅하는 주요 저장소는 자유-오픈 소스 앱들만 포함한다. F-Droid 웹사이트나 클라이언트 앱을 통해 계정 등록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검색, 다운로드, 설치가 가능하다. 광고, 사용자 추적, 비자유 소프트웨어의 의존성 등 "Anti-Features"가 앱 설명에 표기된다.[3]

웹사이트는 또한 호스팅을 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소스 코드, 그리고 F-Droid 서버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어서 누구든지 자체 앱 저장소의 구축을 가능케 하고 있다.[4][5][6]

같이 보기

각주

  1. “F-Droid Is Here”. 2010년 9월 29일. 2020년 9월 29일에 확인함. 
  2. “CHANGELOG.md · master · F-Droid / Client · GitLab”. 2023년 8월 7일에 확인함. 
  3. “Client 0.54 released”. F-droid.org. 5 November 2013. 26 April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4. Hildenbrand, Jerry (2012년 11월 27일). “F-Droid is the FOSS application store for your Android phone”. 《Android Central》. 2018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9일에 확인함. 
  5. Nardi, Tom (2012년 8월 27일). “F-Droid: The Android Market That Respects Your Rights”. 《The Powerbase》. 2013년 1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29일에 확인함. 
  6. “F-Droid Server Manual”. 2013년 11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8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F-Droid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 v
  • t
  • e
활동 중
개인용
컴퓨터
비디오 게임
콘솔
모바일
아케이드
중단
  • Desura
  • 게임에이전트
  • 게임탭
  • 게임 포 윈도우 마켓플레이스
  • 임펄스
  • 인텔 앱업
  • 점보플레이
  • 카자
  • N-Gage
  • 노키아 스토어
  • 온라이브
  • 플레이나우 아레나
  • 스타독 센트럴
  • Triton
  • 윈도우 마켓플레이스
  • 윈도우 마켓플레이스 포 모바일
  • 야후! 게임
  • 준 마켓플레이스
  • Playster
  • Zyl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