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3월 산리쿠 해역 지진

북위 40° 46.5′ 동경 145° 13.6′  / 북위 40.7750° 동경 145.2267°  / 40.7750; 145.2267[1]피해피해 지역일본 도호쿠 지방지진해일아오모리현 최대 21 cm 쓰나미 관측사상자사상자 없음[2]

2012년 3월 산리쿠 해역 지진은 2012년 3월 14일에 산리쿠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3] 지진 규모는 M6.9.[4] 홋카이도, 토호쿠 지방에서 최대진도4를 관측했다. 또한 아오모리현에서 21 cm의 해일을 관측했다.[5]

진도

진도4 이상을 관측한 지역은 다음과 같다.[6]

진도 도도부현 시정촌
4 홋카이도 구시로정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난부정
이와테현 후다이촌

같이 보기

각주

  1.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気象庁》. 2012년 3월 14일. 2021년 3월 28일에 확인함. 
  2. 日本付近で発生した主な被害地震 (平成8年以降) - 気象庁
  3. “3月14日 三陸沖の地震”. 2021년 6월 8일에 확인함. 
  4. “平成24年3月14日18時09分頃の三陸沖の地震について” (PDF). 気象庁 報道発表資料. 2012년 4월 16일에 확인함. 
  5. “気象庁 | 津波警報・注意報評価”. 《www.data.jma.go.jp》. 2019년 6월 28일에 확인함. 
  6. “地震情報 03月14日 18時09分頃発生 最大震度:4” (일본어). 2021년 6월 8일에 확인함. 
  • v
  • t
  • e
2012년 지진
1월
2월
  • 필리핀 비사야스 (6일, M6.7)
  • 타이완섬 핀둥 (26일, M6.4)
3월
4월
  •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해역 (11일, M8.6)
  • 멕시코 미초아칸주 (11일, M6.5)
5월
  • 불가리아 페르니크 (22일, M5.6)
  • 이탈리아 에밀라 (20-29일, M6.1)
6월
  • 아프가니스탄 샤이하자라 (11일, M5.4+5.7)
7월
  • 뉴질랜드 오푸나크 (3일, M6.5)
8월
9월
  • 코스타리카 니콜랴반도 (5일, M7.6)
  •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 (7일, M5.6)
10월
  • 미국 캘리포니아주 (27일, M7.8)
11월
12월
  •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
  • v
  • t
  • e
1885년 이후 일본의 지진
1885년-1899년
1885년-1889년
1890년-1899년
1900년-1949년
1900년-1909년
1910년-1919년
1920년-1929년
  • 류가사키 (1921년, M7.0)
  • 우라가 수도 (1922년, M6.8)
  • 시마바라 (1922년, M7.1)
  • 이바라키현 해역 (1923년, M7.1)
  • 규슈 동남쪽 해역 (1923년, M7.3)
  • 간토 지방 (간토 대진재) (1923년, M7.9)
  • 가나가와현 서부 (1924년, M7.3)
  • 홋카이도 동쪽 해역 (1924년, M7.5)
  • 이바라키현 해역 (1924년, M7.2)
  • 아바시리 근해 (1924년, M7.0)
  • 기타타지마 (1925년, M6.7)
  • 오키나와 서북쪽 해역 (1926년, M7.0)
  • 미야코섬 근해 (1926년, M7.0)
  • 기타탄고 (1927년, M7.3)
  • 산리쿠 해역 북부 (1928년, M7.0)
1930년-1939년
1940년-1949년
1950년-1999년
1950년-1959년
1960년-1969년
1970년-1979년
1980년-1989년
1990년-1999년
2000년-현재
2000년-2009년
2010년-2019년
2020년-현재
이 글은 지구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