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리그컵

러시앤캐시컵 2011
국가대한민국 대한민국
참가 구단 수16구단
전년도 우승 구단FC 서울
우승 구단울산 현대
준우승 구단부산 아이파크
득점왕대한민국 김신욱 (11골)
2010

2011년에 열리는 리그컵은 <러시앤캐시>로 유명한 대부업체 A&P파이낸셜과 손잡게 되면서 러시앤캐시컵 2011라는 이름으로 열게 되었다. 2011년 3월 14일, 서울 신문로 축구회관에서 가진 타이틀 스폰서 조인식을 가졌는데 A&P 파이낸셜은 이와 함께 올해 2011 K리그 오피셜 스폰서로도 참여해 2011 K리그의 A보드 광고권, 90도 시스템 광고권도 획득, K리그를 통한 활발한 스포츠 후원 활동을 펼칠 것으로 기대되었다. A&P 파이낸셜 관계자는 "K리그의 발전과 저변 확대가 곧 한국 축구의 발전으로 이어진다는 믿음에서 타이틀 스폰서 참여를 결정하게 됐다"며 "2011년 리그컵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하게 돼 매우 기쁘다. 점차 빨라지는 현대 축구에 걸맞게 K리그 경기가 열리는 축구장 안팎에서 축구붐 조성과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후원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1]

그러나 정작 팬들의 반응은 기대와는 달리 예상 밖에 비판이 많았다. 분명 A&P 파이낸셜의 스폰서 참여로 K리그가 금전적으로 이익을 얻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미지'라는 쉽게 얻을 수 없는 무형의 자산을 잃게 됐다는 평가가 대부분이었다.

한 K리그 팬은 트위터를 이용해 "스포츠채널이 사채광고 전용채널이 될 것이다"라며 우려를 표현했고, 다른 팬은 "대회명이 사채컵?"이라며 비웃는 모습을 보였다. 이외에도 대다수의 팬들도 "할 말이 없다", "스폰서 자격 제한도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라며 비슷한 모습을 보였다. A&P 파이낸셜이 K리그 팬들의 우려와 같이 부당한 이익을 얻는 사채업을 하는 것은 아니다. 정부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대부업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사채업과 대부업은 같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A&P 파이낸셜의 K리그 타이틀 스폰서 참여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였다.[2]

지난해와 똑같이 대회방식은 조별리그 - 8강 - 4강 - 결승전 순서로 치러졌다. 3월 16일부터 5월 1일까지 조별리그가 진행되며, 6월 29일부터 7월 13일까지 토너먼트가 진행되었다.

대회 구성

예선 조별 리그

작년과 같은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는 4팀을 제외하고 조별 예선을 치렀던 방식이며 약간 수정이 된 올해는 나머지 12개 구단 모두 조별예선에 참가하며 6개 팀씩 A, B조로 나뉘었다. 팀 당 5경기씩을 치르게 되며 각 조의 1, 2위팀과 AFC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하는 4팀이 합류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본선 토너먼트

지난해와 똑같은 방식으로 본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결승전까지 모두 단판 승부로 진행됐다.

러시앤캐시컵 2011의 참가팀

조별 예선 자동 통과팀

조별 예선 참가팀

조별 예선 자동 통과팀을 제외한 나머지 12개 팀은 K리그 2010 순위를 시드 순위로 해서 배치되었다.

예선 조별리그

A조

순위

순위 구단 경기 득점 실점 득실 승점
1 포항 스틸러스 5 4 0 1 11 3 +8 12
2 경남 FC 5 3 1 1 7 2 +5 10
3 성남 일화 천마 5 2 2 1 4 3 +1 8
4 인천 유나이티드 5 1 2 2 5 6 −1 5
5 대구 FC 5 1 2 2 2 5 −3 5
6 대전 시티즌 5 0 1 4 1 11 −10 1

경기 결과

1라운드
2011년 3월 16일 인천 유나이티드 3-0 대전 시티즌 인천문학경기장  
19:00 KST (UTC+09) 김명운 38분에 득점 38′
유병수 50분에 득점 50′
카파제 71분에 득점 71′
관중 수: 4,256


2011년 3월 16일 대구 FC 0-2 경남 FC 대구시민운동장  
19:00 KST (UTC+09) 김영우 30분에 득점 30′
루시오 70분에 득점 70′
관중 수: 952


2011년 3월 16일 포항 스틸러스 2-0 성남 일화 천마 포항스틸야드  
19:30 KST (UTC+09) 정석민 57분에 득점 57′
김태수 66분에 득점 66′
관중 수: 7,211


2라운드
2011년 4월 6일 인천 유나이티드 0-0 대구 FC 인천문학경기장  
19:00 KST (UTC+09) 관중 수: 2,351


2011년 4월 6일 대전 시티즌 0-3 포항 스틸러스 대전월드컵경기장  
19:30 KST (UTC+09) 슈바 17분, 23분에 득점 17′23′
노병준 84분에 득점 84′
관중 수: 4,785


2011년 4월 6일 성남 일화 천마 0-0 경남 FC 탄천종합운동장  
20:00 KST (UTC+09) 관중 수: 1,411


3라운드
2011년 4월 20일 포항 스틸러스 0-1 대구 FC 포항스틸야드  
19:30 KST (UTC+09) 황일수 10분에 득점 10′ 관중 수: 7,817


2011년 4월 20일 경남 FC 1-0 인천 유나이티드 창원축구센터  
20:00 KST (UTC+09) 김인한 81분에 득점 81′ 관중 수: 1,321


2011년 4월 20일 성남 일화 천마 1-0 대전 시티즌 탄천종합운동장  
20:00 KST (UTC+09) 조동건 83분에 득점 83′ 관중 수: 1,534


4라운드
2011년 5월 5일 포항 스틸러스 4-1 인천 유나이티드 포항스틸야드  
14:00 KST (UTC+09) 고무열 8분에 득점 8′
조찬호 10분, 27분에 득점 10′27′
김기동 34분에 득점 34′
루이지뉴 86분에 득점 86′ 관중 수: 16,671


2011년 5월 5일 경남 FC 3-0 대전 시티즌 창원축구센터  
15:00 KST (UTC+09) 한경인 30분에 득점 30′
윤빛가람 56분에 득점 56′
루시오 89분에 득점 89′
관중 수: 11,826


2011년 5월 5일 대구 FC 0-2 성남 일화 천마 대구시민운동장  
15:00 KST (UTC+09) 홍철 80분에 득점 80′
김덕일 84분에 득점 84′
관중 수: 9,744


5라운드
2011년 5월 11일 대전 시티즌 1-1 대구 FC 대전월드컵경기장  
19:30 KST (UTC+09) 박민근 12분에 득점 12′ 황일수 28분에 득점 28′ 관중 수: 1,775


2011년 5월 11일 경남 FC 1-2 포항 스틸러스 창원축구센터  
20:00 KST (UTC+09) 안현식 66분에 득점 66′ 김기동 26분에 득점 26′
모따 79분에 득점 79′
관중 수: 961


2011년 5월 11일 성남 일화 천마 1-1 인천 유나이티드 탄천종합운동장  
20:00 KST (UTC+09) 홍진섭 23분에 득점 23′ 김재웅 16분에 득점 16′


B조

순위

순위 구단 경기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부산 아이파크 5 4 0 1 7 3 +5 12
2 울산 현대 5 4 0 1 8 5 +3 12
3 전남 드래곤즈 5 3 1 1 4 1 +3 10
4 강원 FC 5 1 1 3 7 6 +1 4
5 상주 상무 피닉스 5 1 0 4 6 9 −3 3
6 광주 FC 5 1 0 4 4 12 −8 3

경기 결과

1라운드
2011년 3월 16일 울산 현대 2-1 부산 아이파크 울산문수축구경기장  
19:00 KST (UTC+09) 김신욱 19분, 46분에 득점 19′46′ 강민수 63자책골분에 득점 63자책골 관중 수: 4,856


2011년 3월 16일 전남 드래곤즈 1-0 상주 상무 광양축구전용구장  
19:00 KST (UTC+09) 이현승 20분에 득점 20′ 관중 수: 1,143


2011년 3월 16일 강원 FC 5-0 광주 FC 춘천송암레포츠타운  
19:00 KST (UTC+09) 서동현 50분에 득점 50′
권순형 66분에 득점 66′
김영후 85분, 90+2분에 득점 85′90+2′
이창훈 90분에 득점 90′
관중 수: 2,320


2라운드
2011년 4월 6일 강원 FC 0-0 전남 드래곤즈 강릉종합운동장  
19:00 KST (UTC+09) 관중 수: 5,150


2011년 4월 6일 울산 현대 2-1 상주 상무 울산문수축구경기장  
19:00 KST (UTC+09) 이진호 11분, 53분에 득점 11′53′ 김정우 82분에 득점 82′ 관중 수: 3,323


2011년 4월 6일 부산 아이파크 1-0 광주 FC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19:30 KST (UTC+09) 한지호 37분에 득점 37′ 관중 수: 1,502


3라운드
2011년 4월 20일 부산 아이파크 2-1 상주 상무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19:00 KST (UTC+09) 한지호 30분에 득점 30′
김한윤 54분에 득점 54′
김치우 90+2분에 득점 90+2′ 관중 수: 1,038


2011년 4월 20일 광주 FC 0-2 전남 드래곤즈 광주월드컵경기장  
19:00 KST (UTC+09) 코니 33분에 득점 33′
남준재 90+3분에 득점 90+3′
관중 수: 847


2011년 4월 20일 울산 현대 2-1 강원 FC 울산문수축구경기장  
19:00 KST (UTC+09) 김신욱 25분에 득점 25′
설기현 35분에 득점 35′
서동현 84분에 득점 84′ 관중 수: 983


4라운드
2011년 5월 4일 전남 드래곤즈 1-0 울산 현대 광양축구전용구장  
19:00 KST (UTC+09) 코니 51분에 득점 51′ 관중 수: 4,243


2011년 5월 5일 강원 FC 0-2 부산 아이파크 강릉종합운동장  
15:00 KST (UTC+09) 추성호 28분에 득점 28′
최진호 66분에 득점 66′
관중 수: 13,724


2011년 5월 5일 상주 상무 2-3 광주 FC 상주시민운동장  
15:00 KST (UTC+09) 김동현 23분에 득점 23′
김정우 61분에 득점 61′
김성민 12분에 득점 12′
유동민 58분에 득점 58′
김성민 90+1분에 득점 90+1′
관중 수: 8,972


5라운드
2011년 5월 11일 광주 FC 1-2 울산 현대 광주월드컵경기장  
19:00 KST (UTC+09) 유종현 13분에 득점 13′ 김신욱 8분, 38분에 득점 8′38′ 관중 수: 568


2011년 5월 11일 상주 상무 2-1 강원 FC 상주시민운동장  
19:00 KST (UTC+09) 김동현 51분에 득점 51′
김정우 88분에 득점 88′
하정헌 5분에 득점 5′ 관중 수: 5,445


2011년 5월 11일 부산 아이파크 1-0 전남 드래곤즈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19:00 KST (UTC+09) 이종원 32분에 득점 32′ 관중 수: 602


본선 토너먼트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6월 29일 - 포항
 
 
포항 스틸러스1
 
7월 6일 - 부산
 
부산 아이파크2
 
부산 아이파크2
 
6월 29일 - 서귀포
 
수원 삼성 블루윙즈1
 
제주 유나이티드0 (2)
 
7월 13일 - 울산
 
수원 삼성 블루윙즈 (PSO)0 (4)
 
울산 현대3
 
6월 29일 - 창원
 
부산 아이파크2
 
경남 FC1
 
7월 6일 - 울산
 
FC 서울0
 
울산 현대4
 
6월 29일 - 울산
 
경남 FC2
 
울산 현대4
 
 
전북 현대 모터스1
 

8강전

6월 29일
19:30 한국 표준시
포항 스틸러스 1 - 2 부산 아이파크 포항스틸야드
관중: 6,288
심판: 우상일
정석민 68분에 득점 68′ 리포트 윤동민 10분에 득점 10′
박희도 19분에 득점 19′

6월 29일
19:30 한국 표준시
제주 유나이티드 0 - 0 수원 삼성 블루윙즈 제주월드컵경기장
관중: 2,822
심판: 김성호
리포트
    승부차기  
한재만 실패
마철준 성공
삥요 성공
강수일 실패
2 - 4 우승제 성공
최성환 성공
신연수 실패
노형구 성공
양상민 성공

6월 29일
19:30 한국 표준시
경남 FC 1 - 0 FC 서울 창원축구센터
관중: 2,469
심판: 안용희
윤빛가람 26분에 득점 26′ 리포트

6월 29일
19:30 한국 표준시
울산 현대 4 - 1 전북 현대 모터스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2,153
심판: 류희선
김신욱 26분, 30분에 득점 26′30′
최재수 41분에 득점 41′
정대선 53분에 득점 53′
리포트 박정훈 20분에 득점 20′

준결승전

7월 6일
한국 표준시
부산 아이파크 2 - 1 수원 삼성 블루윙즈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관중: 1,878
심판: 유선호
임상협 43분에 득점 43′
김한윤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양준아 7분에 득점 7′

7월 6일
한국 표준시
울산 현대 4 - 2 경남 FC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2,589
심판: 고금복
김신욱 47분, 66분, 78분, 87분에 득점 47′66′78′87′ 리포트 이효균 15분에 득점 15′
이동근 80분에 득점 80′

결승전

7월 13일
한국 표준시
울산 현대 3 - 2 부산 아이파크 울산문수축구경기장
관중: 21,853
심판: 이민후
고창현 38분에 득점 38′
설기현 46분에 득점 46′
강진욱 58분에 득점 58′
리포트 양동현 71분, 77분에 득점 71′77′
러시앤캐시컵
2011 우승
울산 현대
5번째 우승

득점 순위

순위 이름 클럽 득점 경기 경기당 득점
1 대한민국 김신욱 울산 현대 11 8 1.38
2 대한민국 김정우 상주 상무 피닉스 3 5 0.60
3 브라질 루시오 경남 FC 2 3 0.67
4 대한민국 서동현 강원 FC 2 3 0.67
5 브라질 슈바 포항 스틸러스 2 3 0.67
6 대한민국 김영후 강원 FC 2 3 0.67
7 대한민국 김동현 상주 상무 피닉스 2 4 0.50
8 오스트레일리아 코니 전남 드래곤즈 2 4 0.50
9 대한민국 황일수 대구 FC 2 5 0.40
10 대한민국 김한윤 부산 아이파크 2 5 0.40

  • 최종 업데이트 : 2011년 7월 14일 (출처: K리그 공식 홈페이지)

수상

TV 중계

일정 방송사 캐스터 해설위원 결승 결과
원정
7월 13일 KBS 1TV 서기철 이용수 울산 부산 3-2

같이 보기

각주

  1. 허종호 (2011년 3월 14일). “'러시앤캐시' A&P 파이낸셜, 리그컵 타이틀 스폰서”. OSEN.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허종호 (2011년 3월 14일). “K리그 팬들, 대부업체의 타이틀 스폰서 참여에 '우려'”. OSEN. 2011년 3월 14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v
  • t
  • e
리그컵 시즌
본선결승전
  • v
  • t
  • e
2011년 대한민국 축구
국내 리그
남자
여자
국내 컵
아시아 대회
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