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이 틀 메시지를 언제, 어떻게 제거하는지 알아보기)
디펜딩 챔피언 챌린저
티그란 페트로샨
티그란 페트로샨
보리스 스파스키
보리스 스파스키
소련 티그란 페트로샨 소련 보리스 스파스키
12½ 11½
1929년 6월 17일생
36세
1937년 1월 30일생
29세
1963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의 승자 1965년 도전자 결정전의 우승자
1963 1969
이 대회를 기념하는 소련의 우표

1966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는 1966년 4월 9일부터 6월 9일까지 소비에트 연방 모스코바에서 진행된 체스 대회이다. 티그란 페트로샨보리스 스파스키가 경기했으며, 페트로샨이 이겼다.

1964년 인터조널 토너먼트

개회식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인터조널 토너먼트가 열렸다. 상위 6명이 도전자 결정전으로 진출했다.

1964년 인터조널 토너먼트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총점
1 소련 Vasily Smyslov (USSR) ½ ½ ½ ½ ½ ½ ½ 1 1 1 1 ½ 1 ½ ½ ½ ½ 1 1 1 1 1 1 17
2 덴마크 Bent Larsen (DEN) ½ 1 ½ 0 1 0 ½ 1 ½ 1 1 1 ½ ½ ½ 1 1 ½ 1 1 1 1 1 17
3 소련 Boris Spassky (USSR) ½ 0 ½ ½ ½ ½ 1 1 1 0 ½ 1 ½ 1 1 ½ 1 1 1 1 1 1 1 17
4 소련 Mikhail Tal (USSR) ½ ½ ½ ½ ½ ½ ½ ½ ½ ½ ½ 1 1 1 1 ½ 1 1 1 1 1 1 1 17
5 소련 Leonid Stein (USSR) ½ 1 ½ ½ 0 1 ½ 0 1 ½ 1 ½ 1 1 1 1 ½ ½ ½ 1 1 1 1 16½
6 소련 David Bronstein (USSR) ½ 0 ½ ½ 1 ½ ½ ½ ½ 1 ½ ½ 1 ½ ½ 1 1 1 ½ 1 1 1 1 16
7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Borislav Ivkov (YUG) ½ 1 ½ ½ 0 ½ ½ ½ ½ 0 1 1 ½ ½ ½ ½ 1 1 1 ½ 1 1 1 15
8 미국 Samuel Reshevsky (USA) ½ ½ 0 ½ ½ ½ ½ ½ ½ ½ ½ ½ 1 ½ ½ 1 ½ ½ 1 1 1 1 1 14½
9 헝가리 Lajos Portisch (HUN) 0 0 0 ½ 1 ½ ½ ½ ½ 0 ½ ½ 1 1 1 ½ 1 ½ 1 1 1 1 1 14½
10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Svetozar Gligorić (YUG) 0 ½ 0 ½ 0 ½ ½ ½ ½ ½ 1 1 ½ 1 ½ 1 ½ 1 1 0 1 1 1 14
11 서독 Klaus Darga (FRG) 0 0 1 ½ ½ 0 1 ½ 1 ½ 0 ½ 1 ½ 1 ½ ½ 1 1 ½ ½ 1 ½ 13½
12 헝가리 Levente Lengyel (HUN) 0 0 ½ ½ 0 ½ 0 ½ ½ 0 1 ½ ½ 1 ½ 1 ½ ½ 1 1 1 1 1 13
13 체코슬로바키아 Ludek Pachman (CZS) ½ 0 0 0 ½ ½ 0 ½ ½ 0 ½ ½ ½ 1 ½ 1 1 1 1 1 1 ½ ½ 12½
14 미국 Larry Evans (USA) 0 ½ ½ 0 0 0 ½ 0 0 ½ 0 ½ ½ 1 ½ 0 1 1 1 ½ ½ 1 ½ 10
15 불가리아 Georgi Tringov (BUL) ½ ½ 0 0 0 ½ ½ ½ 0 0 ½ 0 0 0 ½ 1 ½ ½ 1 ½ ½ 1 1
16 미국 Pal Benko (USA) ½ ½ 0 0 0 ½ ½ ½ 0 ½ 0 ½ ½ ½ ½ ½ 0 1 0 1 ½ ½ ½ 9
17 아르헨티나 Héctor Rossetto (ARG) ½ 0 ½ ½ 0 0 ½ 0 ½ 0 ½ 0 0 1 0 ½ ½ ½ ½ 0 1 0 1 8
18 아르헨티나 Alberto Foguelman (ARG) ½ 0 0 0 ½ 0 0 ½ 0 ½ ½ ½ 0 0 ½ 1 ½ 0 0 1 1 0 1 8
19 헝가리 István Bilek (HUN) 0 ½ 0 0 ½ 0 0 ½ ½ 0 0 ½ 0 0 ½ 0 ½ 1 ½ 1 1 ½ ½ 8
20 페루 Oscar Quiñones (PER) 0 0 0 0 ½ ½ 0 0 0 0 0 0 0 0 0 1 ½ 1 ½ ½ 1 ½ 1 7
21 이스라엘 Yosef Porath (ISR) 0 0 0 0 0 0 ½ 0 0 1 ½ 0 0 ½ ½ 0 1 0 0 ½ 0 ½ ½
22 쿠바 Francisco José Pérez (CUB) 0 0 0 0 0 0 0 0 0 0 ½ 0 0 ½ ½ ½ 0 0 0 0 1 1 1 5
23 오스트레일리아 Bela Berger (AUS) 0 0 0 0 0 0 0 0 0 0 0 0 ½ 0 0 ½ 1 1 ½ ½ ½ 0 0
24 캐나다 Zvonko Vranesic (CAN) 0 0 0 0 0 0 0 0 0 0 ½ 0 ½ ½ 0 ½ 0 0 ½ 0 ½ 0 1 4

FIDE 규칙에 의해 같은 나라에서 3명을 초과하는 선수가 도전자 결정전에 진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스타인과 브론스타인은 진출 자격이 없었다. 마지막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포티슈와 리셰브스키가 3경기 매치를 했고 포티슈가 2½–½로 이겼다.

1962년 인터조널에서 우승했던 보비 피셔는 1963-64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해 이 대회에 참가 자격이 있었지만 초대를 거절했다.[1]

1965년 도전자 결정전

이전 도전자 결정전에서 발생한 논란으로 인해 이번 대회부터는 토너먼트전으로 치러졌다.(1963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1962년 인터조널 토너먼트 참고)

미하일 보트빈니크 (이전 세계 선수권 대회의 패자)와 폴 케레스 (이전 도전자 결정전에서 2위)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보트빈니크는 초대를 거절했고 1962년 도전자 결정전에서 3위를 차지한 에핌 겔러가 대신 그 자리를 차지했다.

8강 준결승 결승
         
소련Boris Spassky 6
소련Paul Keres 4
소련Boris Spassky
소련Efim Geller
소련Vassily Smyslov
소련Efim Geller
소련Boris Spassky 7
소련Mikhail Tal 4
덴마크Bent Larsen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Borislav Ivkov
덴마크Bent Larsen 3위 결정전
소련Mikhail Tal
헝가리Lajos Portisch 덴마크Bent Larsen 5
소련Mikhail Tal 소련Efim Geller 4

스파스키가 우승해 도전자가 되었다. 3위 결정전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1966년 3월에 치러졌고 라르센이 5-4로 이겼다.

1966년 챔피언십 매치

총 24경기가 진행되며, 12-12 무승부의 경우 디펜딩 챔피언(페트로샨)이 세계 선수권을 유지한다.

페트로샨은 22경기 이후 12-10으로 이기고 있어 선수권을 지켜 냈지만, 이에 상관없이 마지막 2경기도 진행되었다.[2]

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1934년 대회 이후로 최초로 디펜딩 챔피언이 그 상대를 점수로 이겼다.

1966년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총점
소련 티그란 페트로샨 (USSR) ½ ½ ½ ½ ½ ½ 1 ½ ½ 1 ½ ½ 0 ½ ½ ½ ½ ½ 0 1 ½ 1 0 ½ 12½
소련 보리스 스파스키 (USSR) ½ ½ ½ ½ ½ ½ 0 ½ ½ 0 ½ ½ 1 ½ ½ ½ ½ ½ 1 0 ½ 0 1 ½ 11½

각주

  1. Frank Brady, Profile of a Prodigy (2nd ed.). David McKay. OCLC 724113, pp. 80–81
  2. From Morphy to Fischer (Batsford, 1973), Israel Horowitz, p.231
  3. “Petrosian vs Spassky 1966”. 2016년 7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 v
  • t
  • e
개요
장비
역사
  • 연표
    • 베르수스 데 스카키스
    • 괴팅겐 원고
    • 샤를마뉴 체스 기물
    • 루이스 체스 기물
    • 낭만주의 체스
    • 하이퍼모더니즘 체스
    • 소비에트 체스 학교
    • 최고 선수 비교
  • 국가별 체스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중국
    • 유럽
      • 아르메니아
      • 스페인
    • 인도
  • 유명 경기
  • 체스 선수 목록
    • 아마추어
    • 여성
    • 그랜드마스터
  • 체스와 여성
  • 체스 박물관
    • 바비 피셔 센터
    • 괴키아이 협회 체스 박물관
    • 세계 체스 명예의 전당
규칙
용어
전술
전략
  • 교환
    • 룩 교환
  • 주도권
    • 선수 이득
  • 체스 미들게임
  • 폰 구조
    • 헤지혹
    • 고립된 퀸사이드 폰
    • 머로치 바인드
    • 마이너리티 어택
  • 기물의 상대적 가치
  • 예방책
  • 체스 학교
오프닝
플랭크 오프닝
  • 벵코 오프닝
  • 버즈 오프닝
  • 던스트 오프닝
  • 잉글리시 오프닝
  • 그롭스 오프닝
  • 라르센 오프닝
  • 추케르토르트 오프닝
    • 킹즈 인디언 어택
    • 레티 오프닝
킹즈 폰 게임
  • 알레킨 디펜스
  • 카로-칸 디펜스
  • 프렌치 디펜스
  • 모던 디펜스
  • 님조비치 디펜스
  • 오픈 게임
    • 포 나이트 게임
    • 지우코 피아노
    • 이탈리안 게임
    • 킹스 갬빗
    • 페트로프 디펜스
    • 필리도어 디펜스
    • 폰지아니 오프닝
    • 루이 로페즈
    • 세미 이탈리안 오프닝
    • 스코치 게임
    • 투 나이트 디펜스
    • 비엔나 게임
  • 오웬 디펜스
  • 피어츠 디펜스
    • 오스트리아 어택
  • 스칸디나비안 디펜스
  • 시실리안 디펜스
    • 알레킨 바리에이션
    • 드래곤/엑셀레이티드 드래곤 바리에이션
    • 스헤베닝언
퀸즈 폰 게임
  • 부다페스트 갬빗
  • 콜 시스템
  • 더치 디펜스
  • 잉글리시 디펜스
  • 인디언 디펜스
    • 베노니 디펜스
    • 모던 베노니
    • 보고 인디언 디펜스
    • 카탈란 오프닝
    • 그륀펠트 디펜스
    • 킹즈 인디언 디펜스
    • 님조-인디언 디펜스
    • 올드 인디언 디펜스
    • 퀸즈 인디언 디펜스
  • 런던 시스템
  • 리히터-베레소프 어택
  • 퀸스 갬빗
    • 퀸스 갬빗 수락
    • 퀸스 갬빗 거절
    • 슬라브 디펜스
    • 세미 슬라브 디펜스
    • 치고린 디펜스
  • 토레 어택
  • 트롬포스키 어택
기타
엔드게임
토너먼트 경기
  • 체스 토너먼트 목록
  • 체스 올림피아드
    • 여자
  • 세계 체스 선수권 대회
    • 목록
    • 후보 토너먼트
    • 체스 월드컵
    • FIDE 그랑프리
  • 기타 세계 선수권 대회
    • 여자
    • 레피드
    • 블리츠
    • 주니어
    • 청소년
    • 시니어
    • 아마추어
    • 컴포지션
    • 문제풀이
  • 컴퓨터 체스 선수권 대회
    • CCC
    • CSVN
    • 북아메리카
    • TCEC
    • WCCC
    • WCSCC
예술과 미디어
  • 카이사
  • 체스미학
  • 예술에서의 체스
    • 초기 문학
    • 영화
    • 소설
    • 회화
    • 단편집
  • 체스 서적
    • 오프닝
    • 엔드게임
    • 《옥스포드 컴포지션 투 체스》
  • 체스 도서관
  • 뉴스의 체스 란
  • 정기 간행물
관련 주제
  • 분류 분류